정몽주 #단심가 #고려말역사 #충신열전 #고전시가해설 #시조분석 #이방원 #선죽교 #포은 #한국문학 #조선건국 #충절의시조
-
고려의 충신 정몽주, 단심가에 담긴 절개와 신념교육이야기 2025. 6. 10. 09:59
정몽주 하면 단심가가 떠오르는 것 같아요. 몇십년이 지난 지금에서도 단심가와 하여가를 외우고 있는 걸보니 참 인상깊었다는 생각이 듭니다. 우리가 알고 있는 충신이라는 설을 반박하고 있는 내용도 존재하지만, 어쩌면 그냥 알고 있는 정몽주였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 티비에 나온 정몽주 대사인데, 잘 알려지지 않은 말이예요. 많은 생각이 나게 하는 말이네요. 주인이 잘살 때 그 밑에서 많은 은혜를 받으며 지내다가, 그 주인이 늙고 병들어 후사를 부탁하는데 어찌 그 손에 침을 뱉을 수 있겠는가. 고려의 명운이 그렇다면 오직 함께 죽을 뿐...1. 단심가, 충절을 노래한 시조고려 말의 정치가이자 학자였던 정몽주(鄭夢周)는 우리 문학사에 길이 남을 시조 한 수를 남겼습니다. 바로 단심가(丹心歌)입니다. 이 시조는 그저..